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마테오 파스퀴넬리
- 알렉산더 갤러웨이
- 푸코
- 인종화
- 미디어연구
- 인프라구조
- 기송관
- 오릿 핼펀
- 제이슨 파먼
- 베르나르 디오니시우스 게이건
- 디지털미디어
- 로젠블랫
- 네트워크권력
- 물질성
- 리사나카무라
- 피셔 숄즈
- 비릴리오
- 냉전과학
- 젠더화
- 프랑스이론
- 우편 체계
- 네트워크시각화
- 쉽록
- 웬디 희경 전
- 파스퀴넬리
- 미디어이론
- 밈
- 신자유주의
- 미디어 이론
- 정보미학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디지털이미지 (1)
INTERFACING

이는 『포스트-밈: 생산의 밈들을 장악하기 Post Memes: Seizing the Memes of Production』에 실린 허성영의 글「The Post-Pepe Manifesto」를 번역한 것이다. 오역에 대한 지적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표절은 불가피하다. 진보는 표절을 암시한다. 오래된 밈이 현재를 위한 자원이 되기 위해서는 오래된 밈의 재발명과 재사용―사유 재산의 도용이 아닌 집단적 상속의 전용―이 요구된다. 똥글러(shitposter)들의 문화적 전위대는 분열증적이기보다는 자폐적인 넷의 단명하는 지식을 가지고 밈적(memetic) 커먼즈를 표현한다. 우리는 열심이고 과자 부스러기 묻은 손가락이 다다이스트와 상황주의자들이 결코 할 수 없었던 것을 끝마치는 데 착수하기 훨씬 이전에 예술을 개념으..
번역/단막글
2022. 12. 7. 1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