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디지털미디어
- 웬디 희경 전
- 오릿 핼펀
- 미디어이론
- 파스퀴넬리
- 리사나카무라
- 마테오 파스퀴넬리
- 제이슨 파먼
- 밈
- 신자유주의
- 우편 체계
- 네트워크권력
- 미디어연구
- 쉽록
- 피셔 숄즈
- 알렉산더 갤러웨이
- 인프라구조
- 푸코
- 인종화
- 비릴리오
- 젠더화
- 로젠블랫
- 기송관
- 냉전과학
- 네트워크시각화
- 프랑스이론
- 정보미학
- 베르나르 디오니시우스 게이건
- 미디어 이론
- 물질성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9)
INTERFACING
의 장면에서 발생하는 역동성이란 순수한 언어A로부터 순수한 언어B로의 순전한 ‘의미’의 이양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의 역동성은 오히려 그러한 ‘순수성’의 허구에 끊임없이 저항하고 존재의 을 철저히 견디며 함께 불순한 모두(원작자 및 번역자)가 “사랑을 가지고 세부에 이르기까지” 협동함으로써, 결코 완전히 현실화할 수 없지만 확실히 실재하는 ‘잠재적인 ’에 접하는/접해지는 순간=계기를 만들어내는 데 있는 것입니다. -『문학 ‘읽기’의 방법들』 서문 (미하라 요시아키) 번역을 하는 과정에서 단어를 이리저리 굴려보고, 문장을 이리저리 바꾸어 가면서 느끼는 건, 번역이 정말 어려운 과정이라는 것입니다. 항상 자신이 없어지는 것 같습니다. 완벽하고 순수한 번역이라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또한 번역이 언제..

-이 글은 American Quarterly 2014년 12월호에 실린 Lisa Nakamura의 글 「 Indigenous Circuits: Navajo Women and the Racialization of Early Electronic Manufacture 」를 번역한 것이다. -글 극초반부에 나오는 해러웨이의 문장은 한국어로 번역된 『해러웨이 선언문: 인간과 동물과 사이보그에 관한 전복적 사유』(책세상)의 번역을 그대로 따온 것임을 알려드린다. (더불어, 해러웨이를 읽을 수 있게 해주신 황희선 역자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각주는 PC를 통해 봐야 오류 없이 볼 수 있다.-썸네일의 이미지는 원문에는 실리지 않은 것으로, 역자 본인이 임의로 넣은 이미지이다.-오역에 대한 코멘트는 언제나 환영합니..

-이는 Third Text지 34호(주제는 '아마추어리즘')에 실렸던 Abigail De Kosnik의 「Piracy Is the Future of Culture」을 번역한 것이다. 초반에 실린 이미지는 원문에 없는 것으로서, 헬레나 헌터와 마크 피터 라이트의 작품 의 일부이다. -주석은 PC로 봐야 오류 없이 볼 수 있습니다.-오역에 대한 코멘트는 언제나 환영입니다.크리스 스미스(Chris Smith) 감독의 2009년 다큐멘터리 붕괴 Collapse>에서, 탐사 저널리스트 마이클 루퍼트(Michael Ruppert)는 목전에 다다른 화석 연료의 고갈을 포함한 많은 요인들로 인해 산업화된 인간 문명의 대규모 붕괴가 시작되었다고 경고한다. 루퍼트가 주장하길, 근대 사회는 탄화수소 연료에 의해 가능해졌으며..